세션 소개

| 세션 목표


디지털 교육전환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지털 격차를 해결하고 형평성·포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분야 AI 사용 관련 윤리적 이슈, 효과성 분석, 증거기반 정책수립, 글로벌 협력방안 등 AI를 활용하여 모두를 위한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폭넓게 논의



| 논의 내용

1

국가, 국제기구, 민간 부문 간 연구 및 지식 공유의 중요성

- 국가, 국제기구, 민간 부문 간의 연구 및 지식 교류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 국제사회에 나타나는 공통된 교육 문제를 해결하고 AI의 장점을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민관산학 간 전략적 협력 방안을 탐색한다.
- AI 활용 교육 성과의 모니터링 및 평가(M&E)를 위한 핵심 성과 지표 (KPI) 설정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2

교육에서의 AI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및 지침 개발  

- 디지털 기술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을 통한 정책 및 지침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 디지털 인프라, 데이터 관리 및 보안, 역량 강화 등 교육에서 AI 활용을 위해 필요한 환경 조성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 교류협력국에서 AI활용 교육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3

교육에서의 AI 활용을 위한 국제 

협력 강화 

- AI를 활용한 미래 교육을 형성하는 데 있어 교사와 학생의 참여와 역량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 교사와 학생 모두를 위해 교육에서 AI를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탐구하고 지식과 새로운 모범 사례를 공유하기 위한 국제 협력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 연사

[좌장]

카틱 크리쉬난

국제교육금융기구(IFFEd) 대표

[토론] 

크리스티안 아에도

세계은행 아시아태평양교육국장

찰스 노스 

GPE 부대표

박유현

DQ 연구소 소장

나성섭

前 아시아개발은행(ADB) 

섹터그룹 부그룹장

 

세션 소개

디지털 교육전환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지털 격차를 해결하고 형평성·포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분야 AI 사용 관련 윤리적 이슈, 효과성 분석, 증거기반 정책수립, 글로벌 협력방안 등 AI를 활용하여 모두를 위한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폭넓게 논의

  1. 1
    국가, 국제기구, 민간 부문 간 연구 및 지식 공유의 중요성
    - 국가, 국제기구, 민간 부문 간의 연구 및 지식 교류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 국제사회에 나타나는 공통된 교육 문제를 해결하고 AI의 장점을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민관산학 간 전략적 협력 방안을 탐색한다.
    - AI 활용 교육 성과의 모니터링 및 평가(M&E)를 위한 핵심 성과 지표 
    (KPI) 설정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1. 2  
    교육에서의 AI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및 지침 개발
    - 디지털 기술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을 통한 정책 및 지침 개발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 디지털 인프라, 데이터 관리 및 보안, 역량 강화 등 교육에서 AI 활용을 위해 필요한 환경 조성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 교류협력국에서 AI활용 교육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1. 3
    교육에서의 AI 활용을 위한 국제 협력 강화
    - AI를 활용한 미래 교육을 형성하는 데 있어 교사와 학생의 참여와 역량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 교사와 학생 모두를 위해 교육에서 AI를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탐구하고 지식과 새로운 모범 사례를 공유하기 위한 국제 협력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좌장]

카틱 크리쉬난

국제교육금융기구(IFFEd) 대표

[토론]

크리스티안 아에도

세계은행 아시아태평양교육 국장


찰스 노스

GPE 부대표


박유현

DQ 연구소 소장


나성섭

前 아시아개발은행(ADB) 섹터그룹 

부그룹장


  알렉시스 킴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소속 겸임 강사 

알렉시스 킴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소속 

겸임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