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 소개

| 논의 배경

1

근대 교육 체제에 대한 근본적 도전 

지식(교과)과 국가의 절대성에 기반한 근대 교육 체제에 대한 회의, 기성세대의 가치와 경험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2

기존 교육 주체 간 관계 해체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등 기술의 변화와 경제 사회적 구조, 노동 및 삶의 방식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교육 체제 속 교사-학생, 정부-학교, 학교-지역사회, 공공-민간 관계도 해체 및 재정립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교육의 위기'가 
'학교의 위기', '교직의 위기'로 드러나고 있는바,


1. 어떻게 하면 바람직하고 지속 발전 가능한 교육과 
     교육 체제를 새롭게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인가?

2. 합리주의(지식 전달), 경험주의(훈련), 구조주의
     (구성) 접근을 아우르는 새로운 틀은 무엇일까?

3. 기존 정부(공공) 주도의 교육개혁은 미래지향적 
     교육 주체 간의 관계 재정립을 실현할 수 있는가?

4. 기존 제도 변화나 인센티브 개혁이 결과적으로
     "교실에서의 교사-학생 간의 실질적, 긍정적 관계
      변화와 상호 성장"으로 이어졌는가? 
      그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 새로운 교육 혁신 생태계 조성의 
   방향과 과제

1

교육 혁신 생태계 활용  

학교 현장에서의 실질적 변화를 끌어내고, 교육 주체 간 새로운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대안적 방식으로 "교육 혁신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다. 교육 혁신 생태계는 각자의 아이디어와 자원을 가진 개별 주체가 협력, 지원, 학습, 경쟁 등 다양한 상호작용의 방식을 통해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으며, 전체 생태계의 발전과 진화로 이어지는 것을 뜻한다. 

2

유기적 연결된 생태계로의 진화 

과거에는 교육과 시장, 학교와 기업 간의 경계가 매우 엄격했고 이들의 생태계 또한 의도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이제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으며 개별 주체 간 변화의 시차 역시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호 협력 기반의 생태계 안에서 


학생은 피교육자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관심 주제를 

찾아 더 재미있고 사회적인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며, 

주체적으로 교수-학습 환경을 재구성해 나갈 수 있다. 

교사는 교과 지식의 전달자에 그치지 않고, 개별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역할을 지속적, 창의적으로 

고민해 나가야 한다.


| 연사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기술국장


.

세션 소개

  1. 1
    근대 교육 체제에 대한 근본적 도전
    지식(교과)과 국가의 절대성에 기반한 근대 교육 체제에 대한 회의, 
    기성세대의 가치와 경험이 다음 세대에 '전달'되는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1. 2
    기존 교육 주체 간 관계 해체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등 기술의 변화와 경제 사회적 구조, 노동 및 삶의 방식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교육 체제 속 교사-학생, 정부-학교, 학교-지역사회, 공공-민간의 관계 역시 해체와 재정립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교육의 위기'가 '학교의 위기', '교직의 위기'로 드러나고 있는바, 


1. 어떻게 하면 바람직하고 지속 발전 가능한 교육과 교육 체제를 새롭게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인가?

2. 합리주의(지식 전달), 경험주의(훈련), 구조주의(구성) 접근을 아우르는 새로운 틀은 무엇일까?

3. 기존 정부(공공) 주도의 교육개혁은 미래지향적 교육 주체 간의 관계 재정립을 실현할 수 있는가?

4. 기존 제도 변화나 인센티브 개혁이 결과적으로 

"교실에서의 교사-학생 간의 실질적, 긍정적 관계 변화와 상호 성장"으로 이어졌는가? 그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1. 1
    교육 혁신 생태계 활용
    학교 현장에서의 실질적 변화를 끌어내고, 교육 주체 간 새로운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대안적 방식으로 "교육 혁신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다.
    "교육 혁신 생태계"는 각자의 아이디어와 자원을 가진 개별 주체가 협력,
    지원, 학습, 경쟁 등 다양한 상호작용의 방식을 통해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으며, 전체 생태계의 발전과 진화로 이어지는 것을 뜻한다.

  1. 2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계로의 진화
    과거에는 교육과 시장, 학교와 기업 간의 경계가 매우 엄격했고 이들의 
    생태계 또한 의도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이제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으며 개별 주체 간 변화의 시차 역시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호 협력 기반의 생태계 안에서 


첫째, 학생은 피교육자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관심 주제를 찾아 더 재미있고 사회적인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며, 

주체적으로 교수-학습 환경을 재구성해 나갈 수 있다. 

둘째, 교사는 교과 지식의 전달자에 그치지 않고, 개별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창의적으로 고민해 나가야 한다.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기술국장

| 연사

사라 두테르테

필리핀 부통령 겸 교육부장관

사라 두테르테

필리핀 부통령 겸 교육부장관